차량에 상차된 적재물이 이송 중에 Pallet / 박스간의 접촉, 붕괴, 낙하 등을 방지하 기 위하여 자동바 / 고무바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고정시키는 작업.
Less than Container Load Cargo, 컨테이너 1개를 채우기에 부족한 소화물을 말하며, 통상 컨테이너 1개에 여러 화주 의 소화물을 채워 운송됨 ( 혼재 화물 ).
운송 기간 중 컨테이너를 크레인 등의 장비로 수직 상하차 하는 행위. 천일 이외의 타 업체에서 당사에 와서 lease 하는 경우로 Handling Charge가 발생.
선박을 소유하고 컨테이너 해상 운송을 담당하는 회사. 천일의 Partner 선사 : MSC Korea, HMM, Sinokor, Wanhai, APL Korea, 등
시내운송, 일정한 지역의 테두리를 정한 후 그 지역내의 운송을 말함. 부산기점을 중심으로 볼 때 부산 인근 지역 및 김해, 양산 부근을 지칭.
장거리 운송, 시내운송 지역을 제외한 장거리 운송 형태.
Yard내 반입이 오래된 컨테이너.
일괄 총액 계약, 업무나 공급품 전부를 일괄하여 총액으로 제공하는 계약.
적하목록, 화물을 선적 완료 후 선하증권 사본을 기초로 하여 본선 또는 선적지 대리점에서 작성하는 적재 화물의 명세표. 수입화물에 있어서 선적화물에 관한 모든 자료가 기재되어 있는 서류.
CY 내에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 적,양하역을 하기 쉽도록 컨테이너를 Stacking 장소에서 Apron까지 운송하는 작업.
컨테이너선으로부터 또는 컨테이너선에 직접 선적 또는 양륙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켜 놓는 넓은 공간.
당사의 전산 기초 자료에 처음으로 등록되는 컨테이너 이력 사항을 입력하는 행위.
냉동 컨테이너의 온도 조절을 위하여 사용되는 비용. 전기료, PTI ( Pre-Trip Inspection ) 등
부두 내에 임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컨테이너 장치장. Container Terminal이 하역장과 보세장치장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하역 후 운송까지 일괄 처리 할 수 있는 시스템.
부두에서 떨어진 곳에 마련된 사설 컨테이너 보세장치장.
계약 선사에 컨테이너가 부족할 시 선사가 Leasing Company와 계약에 의해서 빌리 거나 (계약기간 만기일 전) 반납하는 행위. 당사 소속 차량으로 작업하는 경우로 운송료가 발생됨.
윗 부분이 열려 있어 천막으로 덮히는 컨테이너. < 규격 > ① 사이즈 : 20피트, 40피트 ② 높이 : 8피트 6인치, 238㎝ ③ 안쪽 길이 : 20피트-5.89m, 40피트-12.02m ④ 안쪽 넓이 : 2.35m ⑤ 안쪽 높이 : 2.35m ⑥ Tare Weight : 20피트-2,250kg, 40피트-3,850kg ⑦ Max Cargo Top : 20피트-21,750kg, 40피트-26,630kg |